Authentication(인증)
- 사용자의 신원을 검증하는 행위로서 보안 프로세스에서 첫 번째 단계
- 개인 또는 디바이스의 ID를 확인하는 방시그로 수행
- 비밀번호, 일회용 핀(단일 세션이나 트랜잭션에 한하여 액세스 허용), 인증 앱(액세스를 허용하는 외부 기관을 통해 보안 코드 생성), 생체인식 등
- 서비스를 누가 사용하는지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고, 타인으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필dy
- AuthN
Authorization(인가)
- 사용자에게 특정 리소스나 기능에 액세스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프로세스
- 클라이언트가 하고자 하는 작업이 해당 클라이언트에게 허가된 작업인지 확인
- 특정 자원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
- Authorization을 위해 역할 기반 액세스 제어, JWT, OAuth 등의 기술이 있음
- AuthZ
Multi-Factor Authentication(MFA, 다단계 인증)
- 계정에 추가 인증 요소를 제공하는 작업
- brute force attack을 방어하는데 자주 사용됨
인증 vs 인가
- 한 번에 쓰일 수도 있음(출근 시 지문 인식기는 내가 누구인지 인식하면서, 회사 출입문을 통과할 수 있도록 회사 내부 접근 인가도 함)
- 인가는 인증을 거쳐야 함
- 인가는 인증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음
로그인(login) vs 로그온(logon)
- 로그인 : 신원증명이 필요함(아이디, 비밀번호 등)
- 로그온 : 신원증명이 불필요함, 디지털 매체에 접근만 함
- 로그인 <-> 로그아웃
- 로그온 <-> 로그오프
[참고자료]
https://www.okta.com/kr/identity-101/authentication-vs-authorization/
인증과 인가 (권한 부여) 비교 – 특징 및 차이점 | Okta Identity Korea
인증과 인가는 IAM 환경에서 명확히 구분되는 보안 프로세스로, 인증 (Authentication)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며, 인가 (Authorization) 단계에서는 신원이 확인된 사용자에게 리소스에 액세
www.okta.com
https://dolphinsarah.tistory.com/44
Authentication과 Authorization의 차이
Authentication(인증)과 Authorization(인가) 누가, 언제, 어떻게 쓰고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어떤 웹사이트든 Authentication(인증)과 Authorization(인가)가 있다. Authentication(인증) 유저가 누구인지 확인..
dolphinsarah.tistory.com
https://learn.microsoft.com/ko-kr/azure/active-directory/develop/authentication-vs-authorization
인증과 권한 부여의 차이점 - Microsoft Entra
Microsoft ID 플랫폼의 인증 및 권한 부여의 기본 사항에 대해 알아봅니다.
learn.microsoft.com
https://jake-seo-dev.tistory.com/76
인증 (Authentication) 과 인가 (Authorization) 의 차이를 알아보자.
인증(Authentication)과 인가(Authorization) 인증, Authentication 내가 누군지 알아? 여기 내 명함 봐봐! by 40대 꼰대 어떤 개체의 신원을 확인하는 과정이다. 보통 어떤 인증요소를 증거로 자신을 증명한다..
jake-seo-dev.tistory.com
https://dextto.tistory.com/234
인증(Authentication) vs. 인가(Authorization)
인증(Authentication)과 인가(Authorization)는 항상 함께 등장하는 개념이면서 사용하기에 헷갈리는 용어이기도 합니다. 문맥상 어색하지 않은 경우가 있어 이 둘의 차이를 두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도
dextto.tistory.com
https://white-world.tistory.com/309?category=941824
Authorization과 Authentication 차이가 무엇일까? | 인증 및 권한 부여
웹앱의 관점에서 Authentication(인증)은 로그인을 통해 로그인한 사용자를 인식하는 것이며, Authorization(권한 부여)는 사용자가 CRUD 등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. 권한 부여는 사용자의
white-world.tistory.com
https://velog.io/@itscool/%EC%9D%B8%EC%A6%9DAuthentication%EA%B3%BC-%EC%9D%B8%EA%B0%80Authorization
인증(Authentication)과 인가(Authorization)
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, 사용자 인증(Authentication)을 위해 로그인 과정을 거친다. 그리고 로그인된 상태에서 로그인된 사용자로서의 특정 작업을 수행하려고 할 때 사이트에서 사용자 확인을
velog.io
'CS > 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SO(Single Sign-On)란? (0) | 2022.10.24 |
---|---|
OpenID, OIDC(OpenID Connect)란? (0) | 2022.10.24 |
OAuth란? (OAuth2.0) (0) | 2022.10.24 |
쿠키(Cookie), 세션(Session), 토큰(Token) 인증 (0) | 2022.10.17 |
JWT(JSON Web Token)란? (0) | 2022.10.17 |